비 온 뒤 맑게 갠 하늘에서 무지개를 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이 아름다운 자연 현상, 비 온 뒤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무지개가 생기려면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바로 햇빛과 공기 중의 물방울이죠. 그래서 비가 갠 후에 무지개를 자주 볼 수 있는 겁니다.
무지개의 원리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햇빛이 물방울을 통과할 때 프리즘 효과가 일어나요.
반응형
프리즘이란?
빛을 여러 색으로 나누는 장치입니다. 물방울이 작은 프리즘 역할을 하는 거죠.
이를 이용해서 무지개를 볼 수 있는데,
약간의 요령이 필요해요.
해가 등 뒤에 있어야 하고, 앞쪽에는 물방울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태양 빛과 여러분의 시선이 약 42도 각도를 이룰 때 가장 선명한 무지개를 볼 수 있어요.
재미있는 사실은 이중 무지개도 있다는 거예요.
주 무지개 위에 두 번째 무지개가 뜨는 현상인데,
색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또, 밤에 볼 수 있는 달무지개도 있다고 해요. 신기하죠?
300x250
무지개는 문화적으로도 의미가 있습니다.
아일랜드에서는 무지개 끝에 요정이 금단지를 숨겼다는 재미있는 전설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무지개를 보면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하죠.
이렇게 무지개의 비밀을 알고 나니 어떠신가요?
다음에 무지개를 보면 더 특별하게 느껴질 것 같지 않나요?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면서도 그 속에 숨은 과학의 신비를 느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궁금증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자역학, 쉽게 이해하기! (1) | 2024.06.29 |
---|---|
팝! 팝! 팝콘의 비밀: 과연 왜 터질까요? (0) | 2024.06.28 |
콩 많이 먹으면 방구가 나온다고?? (0) | 2024.06.01 |
비눗방울은 왜 안터질까? (0) | 2024.05.28 |
고체, 액체, 기체 쉽게 이해하는 방법!(feat. 융해, 응고, 승화..)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