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KT 주식에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KT는 통신사업, 미디어업, 금융업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 진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5G 상용화 및 기가지니 등 새로운 사업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로 인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주식 재무재표 분석


재무적으로는 부채비율과 PER 등의 지표에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부채비율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의 실적 지표는 증가하고 있으며, 주당배당금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KT 손익계산서, 출처: 네이버 증권


최근 3개월 전망치 평균에 따르면, 매출액은 264,724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주당배당금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ER


2020년 PER는 9.52이며, 2021년부터는 감소하여 2023년에 5.62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PER이 감소하는 것은 기업의 주가가 시가총액 대비 수익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시장 참여자들이 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ROE


2020년 ROE는 4.75이며, 2021년부터는 상승하여 2023년에 7.96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ROE는 기업이 주주들에게 제공하는 이익 대비 자기자본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효율적으로 자본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E가 증가하는 것은 기업의 순이익이 증가하고 자기자본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BR


2020년 PBR은 0.41이며, 2021년부터는 증가하여 2023년에 0.42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PBR은 기업의 주가 대비 자산 가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PBR이 1에 가까울수록 주가가 자산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이 증가하는 것은 기업의 주가 상승보다 자산 가치가 더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부채 비율


2020년 부채 비율은 116.46이며, 2021년부터는 감소하여 2022년에 122.54까지 오른 후 예측치가 없습니다. 부채 비율이 낮을수록 기업이 재무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채 비율이 감소하는 것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해당 기업은 저평가된 상태에서 재무적으로 안정적이며 성장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잠재적인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 결정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반응형